걱정, 초조, 두려움을 넘는 심리 기술을 담은 심리학책, 신경끄기 연습의 마지막 독후글이다. 책을 읽고 책 내용과 주관적인 경험을 함께 정리하면서 말하고자 하는 의도와 담겨있는 의미들이 더 본질적으로 다가왔다. 당분간 이 심리학책을 다시 열어볼 일은 없겠지만 일주일간은 푹 빠져지냈던 것 같다. 그럼 나머지 내가 눈여겨봤던 심리 기술을 살펴 보자.
1. 최애법칙
여자, 남자, 남녀노소 가릴 것 없이 사랑을 하면 심신에 어떤 변화가 생기던가. 엄청난 호르몬의 분비로 피부결은 맑아지고 윤기가 나며, 머리카락 한올까지 빛이 나보인다. 기분 좋은 냄새도 난다. 누군가를 사랑하거나 사랑까지는 아니여도 좋아한다는 것만으로도. 심장이 평소보다 더 거세게 뛰고 활기가 넘치게 된다. 이 모든 신체 반응들은 건강의 증표다. 기분이 종합적으로 좋기 때문에 스트레스가 감소하고 어떤 일을 대하든, 그 일에 대해 여유가 생긴다. 걱정, 불안감과 같은 감정들은 구석에 있는 듯 없는 듯, 거의 느껴지지 않고 세상의 대부분의 것들이 아름다워 보인다. 따라서 '최애'를 만드는 것은 매우 의미있는 일이다. 사랑하는 배우자, 자녀에게 익숙해져있다면 즐겨보는 드라마 속의 배우, 좋아하는 노래의 가수의 팬이 되어보는 것도 괜찮다. 혼자 사는 사람들의 외로움이나 고독감을 감하기 위해서 반려동물이나 식물을 들이는 것도 최애만들기의 일환일 수 있다. 정신적으로 행복감을 늘리고 안정감을 느낄 수 있기 때문이다. 행복은 크기보다 횟수가 더 중요하다. 큰 행복을 한 번 느끼는 것보다, 주기적으로 자주 행복을 느낄 때 행복하다는 것을 깨달을 수 있다고 한다. 최애를 만들어서 의도적으로 행복감을 올려보자 !
2. 자기암시 효과
시크릿 법칙, 나쁜 말의 법칙 등 앞선 글에서 언급한 법칙들과 관련되어 있다. 자기암시는 나는 누구나 스스로에게 암시를 걸어주는 것이 실제로 효과가 있다는 것이다. 나는 투자를 할 때 맺고 끊음이 힘든 편이다. 환경, 관계 그 모든 것들은 정리하기 어려워하지 않으면서도 주변 정세에 따른 투자 포지션을 변경하기 힘들어한다. 한 때 내가 존경하는, 닮고 싶은 멘토를 떠올리며 "나는 _____다." 생각하며 결정하고 변화를 주려고 했던 적이 있다. 그 때는 이런 효과를 연구한 결과까지 있다는 것을 모르고 어렴풋이 그 멘토를 닮고 싶다는 생각에 들었던 마음이라. 몇 번 가지 않았지만 효과는 분명히 있었다. 내가 존경하는 멘토가 결코 나와 똑같은 상황에서 이러한 결정을 내리지 않았으리라 생각하니 마음이 고쳐먹어졌다. 지금에서야, 무의식에 자기 암시를 거는 행위가 얼마나 가치로운지 깨닫고 있는 중이다. 자기암시에 대해 본격적으로 공부하기 위해서 콘텐츠를 하나 결제해놓았는데, 어느정도 하는 일이 정리가 되면 바로 시작할 계획이다. 멘탈을 관리하기 위해서 지속적인 자기암시는 필수다.
3. 시골이 주는 효과
시골을 도시보다 선호하는 편이다. 시골이 주는 고즈넉함이 좋았다. 하지만 이러한 특성은 모든 사람들에게 공통적으로 느껴지는 특성인가보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시골보다 도시에 사는 사람들이 더 차갑다 한다. 타인을 도와주는 확률이 시골에 사는 사람들보다 낮고 속도도 느렸다. 주저하는 것이다. 이렇게 빠르게 지나가는 틈속에서 내가 그들을 도와줄 수 있는지, 그들은 정말 나를 필요로 할 것인지. 판단을 내리기에 도시는 빠르다. 여유가 있다면 거주지를 양쪽 다 갖고 있으면 좋을테지만, 그렇지 못하다면 정신적으로 지치고 힐링이 필요할 때 잠깐이라도 시골에 다녀오는 것이 어떨까. 사람들은 도시화가 될수록 목격하기 힘든 시골을 갈구하고 그속에서 쉼을 찾고 싶어한다. 배경에 영향을 받는 우리가 도시라는 배경속에서 나홀로 여유로움, 느림, 나눔을 찾기에는 쉽지 않을 것이다. 그럴 땐 의도적으로 배경에 변화를 주어 심리적인 효과를 마구 누리면 된다. 그렇게 쉬고 나면 다시 도시로 돌아오고 싶을 것이다. 우리는 한 지점으로 나아갈수록 대극에 있는 다른 지점을 갈구하니까.
다음 책은 콜드리딩이다. 상대의 심리, 마음을 사로잡는 화술을 담은 책. 읽다 중도에 바빠지면서 그만두었었는데, 다시 심리학책부터 타파하기로 했다. 기록을 하는 것이 다시 루틴화되고 있다니 기쁘다.
댓글